불길하고 무서운 꿈. 스트레스-불안-우울-죄책감 등과 관련이 있으며, 외상을 입은 뒤에 나타나는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이기도 하다. 그 밖에 고열이나 빠른눈운동(rapid eye movement, REM), 수면을 억제하는 약물 사용을 갑자기 중단한 경우, 알코올 급성 해독상태 등에서도 악몽을 꿀 수 있다. 3~5세 어린아이의 10~50%는 심각한 악몽을 꾸며, 성인의 50% 정도는 일시적인 악몽을 경험한다. 악몽은 빠른눈운동 수면 상태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빠른눈운동 수면이 왕성한 새벽에 많이 꾼다.
알기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 3판
고려의학과 제휴를 통해 책 내용 및 그림을 제공합니다.
무단 복제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