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creatic cancer
1. 원인 및 발생
M>F, 흑인>백인, 50이전엔 드물다.
① cigarette smoking : most consistent risk factor(2-3배)
② chronic pancreatitis
③ long-standing DM
④ obesity : calorie intake양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 alcohol, cholelithiasis, coffee는 위험인자가 아니다.
* K-ras gene mutation : 85%이상
P16INK4 mutation과도 관련있다(9p21)- malignant melanoma pathogenesis에도 관련.
2. 임상적 특징
ductal adenocarcinoma(90%), islet cell tumor(5-10%)
head(70%), body(20%), tail(10%)
* Tab 92-1 Sx & Signs
pain & wt loss(>75%), jaundice(head ca의 >80%)
1) Frequent
① Pain : visceral quality, epigastrium-> back radiation
body, tail ca일 때 통증이 더 심한데 이는 암이 발견될 때 head ca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forward bending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retroperitoneal invasion, splanchnic n. infiltration시 통증이 심하다.
② wt loss(대부분) : anorexia때문
③ Jaundice(head ca의 80%이상에서)
dark urine, claylike stool, pruritus
bile duct, duodenum or periampullary region의 cancer처럼 painless jaundice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significant abd discomfort를 호소한다.
* GB palpation(Couvoisier's sign)은 50%미만에서 가능하다.
2) Infrequent
① Glucose intolerance : tumor자체로 인해 발생하며, 진단전 2년내에 발생한다.
<cf. Cecil 751>
pancreatic cancer환자의 80%이상에서 혈중 islet amyloid polypeptide(insulin resistance
유발물질)가 증가되어 있다. 그러다 대부분 DM은 경하며 5%미만에서만 3P증상을 일으
킨다.
② Venous thrombosis, migratory thrombophlebitis(Trousseau's syndrome)
③ GI hemorrhage
i) portal vein compression으로 인한 varix
ii) splenic vein encasement로 인한 splenomegaly
3. 진단
CEA, CA 19-9 : nonspecific
CT : detect rate(>80%), false positive(5-10%)
MRI가 더 나은 점은 없다.
ERCP : 진단에 가장 좋으나 chronic pancreatitis와 구별하기 어렵다(특히 두가지가
공존할 때)
false negative<5% => islet cell tumor의심
Angio : body, tail cancer발견에 유용하다.
(vascular narrowing, displacement or occlusion을 증명함으로써)
4. 치료 : 평균 생존률 6개월
① complete surgical resection(curative) 10-15%에서만 수술가능
② Chemotherapy
i) 5-FU : 생존률 향상, cure rate↑, radiosensitizing agent
ii) Gemcitabine : oxycytidine analogue -> quality of life향상, 생존률 향상
③ RT : 생존률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지만 size감소, pain relieve.
<대장경 추가>
1. 절제가능한 췌장암이라고 판단될 때 portal vein invasion이나 주위 LN전이 여부를 확인
하기 위해 가장 민감한 검사는? EUS
2. 췌장암에서 secretin test하면 volume은 작으나 bicarbonate 농도는 정상
3. 췌장암의 병인에 관계된 유전자
K-ras, p53, EGF, erb-b2 receptor
4. CT상 만성췌장염과 췌장암의 구별이 어려울 때 시행해 볼수 있는 검사?
ERCP with brush cytology
5. 췌장 낭성병변이 있을 때 낭종내 추출액으로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
amylase, CA 19-9, CEA, CA15-3, CA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