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ysis 대장경 정리
1. 투석액 조성
1) HD : Na 135, K 0-4, Ca 2.5-3.5, Acetate 34-38, Bicarbonate 0
(Bicarbonate투석액의 경우 25-30 mEq/L)
2) PD : Na 132, K 0, Ca 3.5 Acetate 35-40, bicarbonate 0
2. HD에서 투석의 양을 결정하는 인자
body size, residual renal function, dietary intake, complicating illness,
anabolism & catabolism정도
3. Uremic sx중 지속적인 투석으로도 좋아지지 않는 것은?
impaired growth, infertility & sexual dysfunction, amenorrhea
hypertriglyceridemia, accelerated atherosclerosis, pruritus
sleep disorder, myopathy, lymphocytopenia, splenomegaly & hypersplenism
4. 투석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two guidelines(NKF-DOQI guidelines)
i) Ccr < 9-14 mL/min(=weekly Kt/V < 2.0)
ii) protein intake < 0.8 g/kg/d(nPNA<0.8 g/kg/d)
iii) uremic sx(+)
cf. normalized protein equivalent of nitrogen appearance(nPNA)
=1.217*(1-e-0.769Kt/V)
5. CRF에서 투석의 적정도를 평가할수 있는 지표
i) Kt/V
ii) URR(urea reduction ratio) = 투석전후 urea/투석전 urea × 100
Kt/V와 well correlation
acceptable URR = 65%
iii) PCR(protein catabolic rate) acceptable PCR =1.2 g/kg/d
6. HD시 Kt/V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 1회 투석시간 연장, 혈류량 증가
7. delivered Kt/V가 예상치보다 적을 때 생각할수 있는 것?
i) blood flow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ii) 환자의 Volume이 처음 계산한것보다 클때(Kt/V에서 V가 커지면 Kt/V가 작아짐)
iii) dialyzer KoA가 예상치보다 작을 때(제조잘못 혹은 reuse등으로 KoA 감소)
iv) access recirculation: needle이 너무 가깝거나 하여 같은 피가 계속 돔
v) rebound: 투석직후에는 BUN이 감소하나 시간이 지나면 rebound로 BUN이 올라가는데
sample을 늦게 할 경우 BUN이 높은 sample을 하여 Kt/V가 낮아짐
8. Vascular access infection: S. aureus
9. HD시 발생하는 저혈압의 원인
① blood volume감소
i) ultrafiltration↑
ii) plasma osmolality↓
② vasoconstriction장애
i) acetate-containing dialysate
ii) dialysate온도가 너무 따뜻할 때
iii) autonomic neuropathy
iv) antihypertensive medication
③ cardiac factor
heart disease, sepsis...
10. Hyponatremic dialysate 합병증 3가지
i) hypotension: dialyzed blood의 물이 간질로 이동하면서 plasma volume의 osmotic
contraction 생김
ii) muscle cramp
iii) dialysis disequilibrium syndrome: hyponatremic blood의 물이 세포내로 들어가면서
cerebral edema를 유발하여 DDS를 악화시킴
11. HD시 나타날 수 있는 신경학적 이상 2가지
i) dialysis disequibrium syndrome : 빠른 BUN의 제거로 인한 osmolality변화때문
ii) dialysis dementia: aluminum accumulation
12. 장기 혈액투석시 발생하는 신경계 합병증
① CNS : dialysis dementia, brain cortical atrophy, DDS(acute)
② PNS : sensory or motor neuropathy, restless legs syndrome
③ ANS
13. 장기 혈액투석시 최근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합병증 4가지
dialysis dementia, acquired cystic disease, dialysis-related amyloidosis, MI & CVA
14. Dialysis-related dementia(DRA) : β2-microglobulin, amyloidosis
15. 복막투석에서 복막투과성과 생존률은 반비례한다.
high transport => longterm outcome↓
∵ i) less effective ultrafiltration
ii) larger protein loss = poor nutritional status & low serum albumin
16. 복막투석 합병증
peritonitis, abdominal hernia, peritoneal ultrafiltration↓, hyperglycemia, protein
malnutrition
17. 복막투석환자에서 잔류신기능의 보존이 중요한 이유
복막투석 시작 초기 잔류 신기능은 총 Kt/V의 약 30%, Ccr의 40%를 차지하는데 투석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한다. 신장은 사구체 여과 이외에 산염기조절, erythropoietin
생성 및 분비, RAS조절, Vit D활성화 등의 내분비 기능, amino acid metabolism등 다양한
기능을 하므로 잔류신기능의 보존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18. 복막투석의 절대적 금기증
i) peritoneal fibrosis or resection
ii) pleuroperitoneal leak: hydrothorax
iii) active inflammatory bowel disease
19. 복막투석환자의 예후결정인자
age, IDDM, cardiovascular disease동반유무, Kt/V, Ccr, serum albumin,
nutritional status(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 percentage lean body mass)
20. CAPD에서 투석의 적절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 2가지
weekly Kt/V, Ccr
21. Automatic PD를 시행하기전 적절한 투석량을 처방하기 위해 시행해야 할 검사 2가지
PET, residual renal function
22. PET
high transport (D/P)cr 0.82-
high average 0.66-0.81
average 0.65
low average 0.50-0.64
low 0.34-0.49
23. PD종류
1) continuous
CAPD: 낮에 3-4회, 밤에 long bedtime exchange
CCPD(continous cyclic PD): 낮에 long dwell, 밤에 3-4회 short-time exchange
2) intermittent
NIPD(nightly intermittent PD): 낮에는 안하고, 밤에만 multiple short-time exchanges
DAPD(daytime ambulatory PD): 낮에만 4번 dwell, 밤에는 dwell(-)
IPD: 한주에 3-4회, rapid cycling
CAPD가 CCPD나 NIPD에 비해 복막염 빈도가 높다.
CCPD의 Kt/V 최소 권장치는 1.7/week이다.
NIPD는 CAPD나 CCPD에 비해 vit B12의 clearance가 적다.
NIPD는 CAPD나 CCPD에 비해 recommended minimal urea clearance가 높다.
24. 각 transport의 특징
1) high transport: peritonititis or hyperpermeable membrane으로 인하여 good clearance,
poor ultrafiltration
∴ long dwelling하면 수분과다 상태가 되므로 투석액을 자주 교환하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CAPD의 경우 CCPD로, CCPD의 경우 NIPD로 바꾼다.
2) average & high average: CAPD, CCPD, NPD 등 사용할수 있다.
3) low average
residual renal function >4 ml/min => CAPD, CCPD
residual renal function이 없다면 => high dose CAPD
4) low transport: poor clearance, poor ultrafiltration
adhesion or peritoneal sclerosis로 인하여 peritoneal surface area가 감소하기 때문
-> very high dose PD를 하든지, HD로 전환해야 한다.
25. High transport의 합병증
ultrafiltration failure, glucose absorption(-> weight gain)
malnutrition(∵higher protein loss)
26. high transport에서 사망률이 증가하는 이유
i) 수분 및 소분자 물질 제거 감소와 이에따른 체내수분저류
ii) 포도당 흡수 증가
iii) malnutrition
iv) 복막을 통한 albumin소실증가
v) 지질대사 이상
27. 복막투석 환자에서 용질의 제거가 부적절하게 보일수 있는 경우 5가지
scleroderma, malignant hypertension, peritoneal fibrosis, vasculitis,
residual renal function이 없는 heavy patient(>70kg)
28. Peritonitis Dx criteria
i) Gram stain or culture상 양성
ii) WBC 100개 이상 & poly 50%이상
iii) abdominal pain & tenderness
세가지 중 2가지 이상일 때 진단
29. CAPD에서 catheter outflow failure시 고려사항
i) catheter malposition
ii) omental wrapping
iii) bowel adherence(constipation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