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S 대장경 정리
1. ADIS의 정의: AIDS-indicator conditions or CD4+ cell < 200/uL
2. category B: oropharyngeal candidiasis, vulvovaginal candidiasis, cervical CIS,
herpes zoster, ITP, listeriosis, PID, peripheral neuropathy
상기 category B는 AIDS의 정의에 들지 않음, 즉 AIDS-indicator condition이 아님!!
3. AIDS 전파경로 4가지
sexual, vertical, transfusion, IV drug abuser
4. AIDS에서 MAI에 의한 감염의 빈도가 높으며 이는 standard tuberculosis치료에 resistant
하다.
AIDS에서 M. tuberculosis에 의한 감염의 빈도가 높으며 이는 standard Tb치료에 잘 듣는다.
5. ziduvudine은 survival을 증가시키고 기회감염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특히 CD4 < 200 /ul에서.
6. HIV 구조
gp120 : outer membrane
gp41 : transmembrane component
gp18(17) : inner membrane
gp24 : core protein
reverse transcriptase
genomic RNA
HIV infection에서 life cycle의 hallmark: RNA -> DNA로의 reverse transcription
이때 reverse transcriptase가 필수적
gp120이 CD4 cell표면에 높은 친화력으로 부착하면 gp41 fusion이 일어나 HIV genomic
RNA가 uncoated & internalize.
7. HIV gene
gag gene: core protein(gp24 Ag포함)
pol gene: reverse transcriptase
env gene: envelope glycoprotein
rev gene: regulator of expression of virion product
tat gene: trans-activator of transcription
8. AIDS때 CD4+ T cell은 양적인 감소 뿐만 아니라 질적 변화도 가진다.
질적변화= Ag인식 장애, lymphokine & IL-2생산 저하
soluble antigen and mitogen에 대한 response장애
9. AIDS때
B lymphocyte는 polyclonal activation되어 hypergammaglobulinemia가 생기고 TNF-α,
IL-6등이 증가된다.
monocyte/macrophage는 HIV infection reservoir로 작용하여 HIV를 몸전체에
dissemination시키는 역할을 한다.
10. HIV expression을 가장 강력히 유도하는 cytokines: IL-1β, IL-6, TNF-α
11. HIV infection때 CD4 cell depletion이 일어나는 이유
1) cell membrane에서 virion의 budding때 생기는 cell membrane disruption
2) syncytium formation: 감염된 CD4 cell과 감염되지 않은 CD4 cell사이에 gp120 및 CD4에
의한 결합 및 융합이 일어나 파괴된다.(=cytopathic effect)
3) innocent bystander destruction: 유리된 gp120이 감염되지 않은 T4 cell표면에 결합하고
이를 항원으로 인지하여 NK cell과 killer T cell이 공격함
4) peripheral T cell의 생성장애: lymphoid precursor cell파괴 및 lymphoid tissue의 점차적
파괴
5) autoimmune destruction, superantigens, apoptosis
12. HIV virus의 target이 되는 CD4 항원을 가짐으로써 HIV의 표적이 되는 가장 중요한 세포
: T4 lymphocyte, monocyte/macrophage, colorectal epithelial cells
brain & spinal cord의 cell population
13. Toxoplasma gondii는 AIDS환자에서 가장 흔한 CNS infection에 속한다.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환자에서 Ga scan하면 95%이상에서 diffuse increased
uptake를 보인다.
Cryptosporidum감염은 일반적으로 심한 diarrhea를 초래하며, 결국 malabsorption을
초래할수 있다.
14. ADIS환자에서 malabsorption & weight loss를 보일 때 가장 흔한 원인?
enteric infection or small intestinal Kaposi's sarcoma
흡수장애가 보일 때 흔히 D-xylose test는 이상소견을 보이고, serum Zinc level은 감소된다.
small-bowel biopsy를 하면 mononuclear cell & histiocyte infiltration을 볼수 있다.
15. AIDS와 같은 T-cell immunity가 저하된 환자에서 diarrhea를 초래하는 기회감염?
CMV, cryptosporidium, MAC
cf. MAC(atypical mycobacterium)에 의한 infection때 일반적인 항결핵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다양한 조합의 항결핵약제 치료로 약간의 생존기간을 늘릴수 있을뿐이었다.
그러나 new macrolide(clarithromycin)이 나오면서 좋은 치료반응을 보였는데
현재 HIV infection환자에서 MAC infection치료의 choice는 clarithromycin + ethambutol
이다.
16. AIDS환자에서 blurred vision 및 diarrhea를 보였다면 가능성있는 진단?
CMV retinitis, CMV colitis
cf. CMV infection치료로 ganciclovir, foscarnet를 시도할 수 있으나 CMV retinitis는
necrotic inflammatory process이므로 irreversible하다.
17. AIDS때 기회감염으로 발생하는 neurologic disease
toxoplasmosis, cryptococcosis, M. tuberculosis, CMV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HTLV-1
18. HIV 환자에서 Pneumocystis carini예방의 indications
감염의 과거력(+), CD4 cell< 200/uL, 2주이상의 불명열(37.8℃),
oropharyngeal candidiasis Hx(+)
19. P. carini와 관련한 예후인자
PaO2, (A-a)DO2, organism burden, BAL에서 neutrophil %,
CXR abnormality, LDH↑, albumin↓
20. P. carini pneumonia로 인해 hypoxemia가 나타날 때 보조적 치료 및 적응증
glucocorticoids, PaO2 < 70 mmHg or (A-a)DO2 > 35 mmHg
21. CD4 < 200/uL : Pneumocystis carini
CD4 < 50/uL : aspergillosis, MAC, CMV
22. HIV환자의 예후와 질병의 이환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유용한 표지자?
CD4+ cell count, HIV RNA level
23. CD4 cell count에 따른 기회감염
<500 /uL : antiretroviral therapy가 필요함
<200/uL : PCP 예방요법이 필요함
<100 /uL : CMV, MAC감염의 위험이 높다.
24. HIV infection의 window period: 평균 4-8주
25. HIV infection의 screening과 확진을 위한 검사법
screening: ELISA, 확진: western blot
26. western blot으로 검출할수 있는 HIV-1의 Ag: gp120/160, gp41, gp24
27. HIV infection환자의 채혈시 주사기에 찔렸을 때 예방요법
2제(zidovudine + lamivudine) or 3제(zidovudine + lamivudine + indinavir)를
4주간 복용한다.
28. AIDS환자가 임신하였을 때 수직감염 예방법
Zidovudine투여
14-34주부터 투여하기 시작하여 분만시엔 IV, 분만후 신생아에 6주간 투여
29. AIDS치료중 치료약제를 바꾸어야 되는 경우
i) 한가지 or 두가지 NRTI(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로 불완전하게 치료를
받은 경우
ii) PI(protease inhibitor)를 포함한 강력한 병용요법을 하고 있으나 초기에 측정수준 이하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
iii) 혈중 virus가 측정수준 이하로 감소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