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으로써 이런 말씀 드리기 외람됩니다만,
종종 의사 출신 기초의학 교원이 멸종될 것이라는 기사들을 보는데, 이게 왜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연계가 잘 안 될 것이라는 이유 때문인가요? 그렇다고 보기엔 지금 기초의학 교수님들 중 의사 출신이신 분들도 임상 현장을 떠난 지 오래이신 것 같은데요. 연계가 중요하다면 기초의학 과목들의 시수 일부를 임상의학 교수가 가르치게 하면 되지 않나요?(저희 학교에서 실제로 하고 있는 방안이기도 합니다..)
기초의학 과목들을 들으면서, 이렇게 이상하게 배우는 사람들도 고역이겠지만 가르치는 사람은 얼마나 고역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무슨무슨 과목을 몇 주 만에 배웠느니 어쩌느니, 의대생들끼리 무용담처럼 하는 이야기지만 그 시간 내에 '제대로' 공부하고 배울 수 없다는 건 다들 아는 사실 아닙니까.
학생의 치기 어린 투정입니다...
1. 대학원 의학과는 그 특성상 교수 수에 비해 대학원생의 수가 적습니다. 게다가 같은 조건이면 대학원생은 당연히 면허가 있는 MD교수를 선호할 것이며, 이는 Non MD교수가 많이 있는 의과대학이라면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
2. Non MD교수면 필연적으로 임상연구, 혹은 임상시험이 불가할 것입니다. 이는 역시 경쟁력 약화의 원인입니다.
3. 일부 학생들의 경우 Non MD교수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다소 무시하는 경우가 있어, 학교 전체적인 학습 효과가 낮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