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근육의 약화와 동반하여 서 있을 수 없고 의식을 소실하는 상태를 말함.
1) 메커니즘: 실신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의식을 관장하는 대뇌부위의 산소결핍에 의해서 일어난다. 실신시 뇌혈류의 감소와 대뇌산소이용의 감소를 보인다.
2) 원인
(1)미주신경반사성 실신(vasovagal syncope): 이것은 일반인에게서도 일어날 수 있는 실신으로서 감정적 격앙에 의해서 갑자기 정신을 잃게 된다. 부교감 신경인 미주신경의 흥분에 의해 혈압이 하강함으로써 유발됨.
(2)체위성 저혈압(postural hypotension): 혈관운동성 반사의 결합이 있는 사람은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 실신이 동반될 수 있다.
(3)심장성 실신(cardiac syncope): 부정맥에 의하여 심박출량의 갑작스런 감소에 의해서 유발되는 실신으로 스톡스-아담스 증후군(Stokes-Adams syndrome)이라고도 불림.
(4)경정맥동증후군(carotid sinus syndrome): 목정맥동(carotid sinus)은 혈압에 대한 수용체가 존재하여 혈압이 너무 높을 때 뇌에 신호를 보내어 심박출량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는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목정맥동이 혈압이 낮은데도 작용하는 병적상태를 말함. 따라서 낮은 혈압에도 심박출량을 줄여 실신을 유발함.

알기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 3판
고려의학과 제휴를 통해 책 내용 및 그림을 제공합니다.
무단 복제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