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있는 나비모양의 내분비샘인 갑상샘이 커지는 것. 단순히 갑상샘이 커진 상태를 이르는 말로 인이나 특별한 병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말은 아니다. 그러므로 갑상샘종이라고 해서 반드시 갑상샘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했다고 말할 수가 없으며, 또 갑상선에 암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샘종성 갑상샘종(adenomatous goiter): 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에서 생긴 종양으로 인해서 갑상샘이 커진 경우를 말한다.
지방병성 갑상샘종(endemic goiter): 알프스 산간 지방, 히말라야 등의 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집단적으로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주로 갑상샘호르몬의 생산에 꼭 필요한 요오드의 섭취가 부족한 곳의 사람들에게서 잘 생긴다.
안구돌출성 갑상샘종(exophthalmic goiter): 눈알의 돌출과 함께 나타나는 갑상샘종으로 일명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이라고 한다. 갑상샘의 종대와 갑상샘호르몬의 과다분비가 특징인 병이다.
결절성 갑상샘종(nodular goiter): 갑상샘안에 결절이 있는 갑상샘종.

알기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 3판
고려의학과 제휴를 통해 책 내용 및 그림을 제공합니다.
무단 복제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