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 감각의 하나. 미각의 수용기는 맛봉오리인데 구강-인두-후두에서도 미각을 느낀다. 맛봉오리는 꽃봉오리 모양으로 높이 약80㎛, 너비 약40㎛이다. 혀 점막의 유두 속에 다수가 존재하며, 물렁입천장이나 후두의 상피 속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맛봉오리 속에는 각각 20~30개의 미세포가 있고, 맛봉오리의 상단에는 맛구멍이 있어 표면에 개구하고 있다. 미각세포는 미공을 통하여 털 모양의 돌기가 혀 표면에 나와 있으며 이 돌기가 맛자극 물질에 처음으로 반응한다. 성인의 혀에는 약1만 개의 맛봉오리가 존재하며, 맛봉오리 하단으로부터는 몇 개의 신경섬유가 들어가 있어서 미각세포에 도달하고 있다.

알기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 3판
고려의학과 제휴를 통해 책 내용 및 그림을 제공합니다.
무단 복제 금지.